본문 바로가기

fAntasize/rEstoration

대한민국 대통령을 꿈꾸는 대선주자들에게 고(告)함

728x90
반응형

우리나라가 제헌국회를 구성하고, 처음으로 이 땅에 민주적인 정부를 수립한 지도 어느 덧 반세기가 넘었다.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이승만 초대 대통령 이하 17대까지, 총 10명의 대통령이 탄생했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대통령은 그 누구도 임기 이후의 말년이 행복하지 못했다. 이러한 우리나라 정치사의 비극은 전 정부의 잘못과 실정에 대해 뼈저린 통찰과 시정의 기치를 세웠음에도, 이를 제대로 시행하지 못했으며, 거듭된 과오를 답습했던 점이 가장 큰 문제였다.

조국 비극의 악순환, 더 이상은 좌시할 수 없다
어쩌면 우리는 첫 단추부터 잘못 꿰었는지 모른다. 8․15 광복 이후 우리는 초대 정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민족적인 염원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했다. 신탁통치와 국제적인 이해관계에 맞물려 남북이 하나 된 조국을 이루지 못한 비통함은 차치하더라도, 독립운동과 임시정부를 이끌던 백범 김구 선생이 동족의 흉탄에 서거하는 비극으로 인해 어수선해진 시국을 끝내 떨치지 못했다. 평화로운 정권 이양이라는 단순하고도 당연한 역사를 실현하기 위해, 몇 십 년 동안 수많은 국민의 피가 광장과 거리에 뿌려져야 했으며, 이유 여부를 떠나 노무현 전 대통령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극까지 이어졌다. 더 이상, 슬프고 우울한 역사의 반복은 막아야만 한다. 이러한 잘못된 순환은 결국 국민 모두의 슬픔이고,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발전을 가로막는 결정적인 장애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의 이명박 대통령 역시 레임덕에 시달리는 현재보다 퇴임 이후인 내년이 걱정되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4대강 사업을 비롯해, 내곡동 사저 문제, 대통령 측근과 친인척의 비리와 이권 사업 개입 의혹 등 많은 사안들이 국민의 의문을 충분히 해소해주지 못한 채, 잡음을 양산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들은 야권과 시민단체 뿐 아니라, 새누리당 마저 의구심을 나타내며 철저한 규명과 재고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세태염량(世態炎凉)이 유행병처럼 돌아오는 역사를 지켜보고서도 장차 1년 후를 어떻게 도모하고자 하는 지 안타깝기 그지없는 모습이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다보니 총선에서 승리하고 여세를 몰아 대선까지 분위기를 이어가려 하는 여당마저, 선거 판세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이명박 대통령과의 본격적인 선 긋기에 나서고 있다. 현직 대통령과의 거리를 두어야 다음 선거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한다는 작금의 우리나라 현실은 과연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이것이 바로 정치 불신의 증거이고, 국론 분열의 원인이기도 하다.

정치권의 여측이심(如廁二心), 국론 분열과 국민 불신의 결정적 원인
불과 두어 달 전의 총선에서 참패를 한 야권 연대는 국민들의 엄중한 심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현 정권에 대한 심판만 메아리처럼 외쳐대고 있을 뿐, 대선을 앞두고 어떤 입장을 견지해 나갈 것인지 구체적인 형태를 전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통합진보당은 자중지란(自中之亂)에 빠져 정권 교체를 희망하는 이들의 심장을 난도질했다.

이들은 이미 지난 총선에서 제대로 된 공약과 종합적인 향후 방향을 제시하기 보다는 오로지 ‘정권심판’에만 몰입하다가 참패를 당했다. 야권 통합만 이루어내면 총선에서 필승할 것처럼 보였지만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결과는 참담했다. 게다가 단생단사(團生散死), 대동단결(大同團結)을 외쳤던 야권 연합은 총선 이후 자신들의 맞잡은 손이 그야말로 사상누각(砂上樓閣), 사분오열(四分五裂)에 지나지 않았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자신들의 연합이 그저 단순한 이합집산(離合集散)일 뿐이었다는 국민적 불신만 가중시켰다.

정권을 지켜내야 하는 여권은 어떠한가? ‘대통령 때문에’를 표면에 걸고 4․11 총선 참패를 우려했던 새누리당은 비상대책위원회까지 구성하며, ‘쇄신’과 ‘당명교체’를 들고 나와 국민 앞에 읍소를 했다. ‘보수’라는 단어의 사용을 두고 당의 정체성을 논의하며 심각한 고민이 오갈만큼 국민 앞에 성실함을 드러냈던 여당은 그 어느 때보다 변화와 민심에 충실하고 절실한 모습을 보여줬다.

그러나 막상 선거에서 승리하고 나자, 목 터지게 외쳐대던 그들의 ‘쇄신’이라는 기치는 봄 눈 녹 듯 사라져버렸다. 자신들이 내세워 국회에 입성할 자격을 부여받은 이들이 논문 표절, 혹은 성추문 등 말도 안 되는 조잡스러운 일에 연루되는 치욕이 이어졌음에도 그들의 대응은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결국 여야는 19대 국회를 제 때에 개원하지도 못하며, 국민의 혈세를 축내기도 했다.

대통령과 정부, 그리고 여야 할 것 없이 정치권 모두가 이러한 갈지자걸음을 거듭하자, 국가의 지도자를 선출해야하는 막대한 중대사를 앞 둔 시점에서 대한민국 국민은 전체적인 공황상태에 빠져버렸다. 대선에 나서는 이들은 저마다의 많은 노력과 수양을 마다하지 않은 이들이며, 정치권에서도 신망이 두터운 거목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이들의 출사표에도 국민의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고, 신뢰가 쌓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전 정권의 부정과 비리, 그리고 차질 속에 진행된 시행착오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우리 정치사의 가슴 아픈 악순환이 국민에게 믿음이라는 단어를 쉽게 허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믿음과 존중이 수반되지 않은 선거는 결과적으로 새 정부에 대한 희망과 기대 자체를 말살해 버린다. 그렇기에 참정권을 행사하는 국민 스스로가 대통령과 정부의 역할에 무관심하고 회의적일 수밖에 없으며, 그들의 정책과 방향에 특별한 성원을 보내지 않는 것이다. 반대로 지도자와 정부가 의혹이라는 단어와 마주했을 때는 신뢰와 믿음보다는 의심과 비난으로 대응하게 된다. 국민이 뽑은 지도자가 자신을 뽑아준 국민과 등을 돌리는 안타까운 비극도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재임기간 발언했던 수많은 연설과 담화들 중, “국민여러분, 오해입니다” 라는 말이 회자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우리의 현실을 통렬히 비추고 있는 거울인 것이다.

대통령을 꿈꾸는 자! 역사와 국민,
대한민국이라는 이름 앞에 떳떳해져라!
안타깝게도 대한민국은 국민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과거 권력에게 잔인했고, 현재 권력에는 관대했으며, 미래 권력 앞에서는 나약했다. 이러한 현상은 필자가 이 글을 쓰는 순간은 물론, 독자가 이 글을 읽는 시간에도 동일하게 이 땅에서 진행되고 있다. 똑같은 사실에 대해 객관적이고 엄정한 기준을 적용하지 못한 채, 바람 앞의 갈대처럼 갈피를 못 잡는 정부와 관료들, 그리고 소위 사회지도층의 행태 또한, 믿음을 주지 못하는 차기 지도자 문제와 더불어 정치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부추기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총체적인 불신이 결국. 이 땅의 불행한 역사가 재현되는 악순환을 막지 못하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민에게 중요한 것은 여(與)권도 야(野)권도 아니다. 자랑스러운 미래를 향해 진취적으로 뻗어나갈 대한민국을 올바르게 이끌 수 있는 바른 가치관의 정립과 이에 걸맞은 합당한 지도자의 등장이 필요한 것이다.

이 땅에 필요한 바른 가치관이라는 것이 그렇게 거창하고 어려운 것일까? 바른 가치관이라는 것은 그저 국민이 ‘상식적’으로 수긍하고 ‘객관적’으로 타당하다고 동의할 수 있는 기본적인 중심만 흔들림 없이 지켜주면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렇게 복잡하고 거창한 논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불편하고 안타까운 과오를 꾸준히 답습해왔던 역사적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는 것은 바로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

국론분열을 막기 위한 지역감정 타파를 외치면서도 선거를 위한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세력, 순리적인 역사의 흐름을 말하면서도 정치보복과 후일의 이익을 도모하는 세력, 대중 앞에서 감언이설을 일삼으면서 뒤에서는 다른 말을 하는 세력을 철저히 배제 엄단하고 상식과 기본이 흔들리지 않는 사회 기조를 실현해야 한다. 차세대 지도자에게 이 정도의 기대를 거는 것이 과연 국민의 지나친 욕심이라 할 수 있을까?

국민의 성원과 뜨거운 열망 속에 영원히 존재해야 할 대한민국, 온 누리 찬란히 빛날 내 조국에 대한 최소한의 국민적 바람 앞에 이번 대선 주자들이 부디 당당하고 떳떳한 입장을 영구히 지킬 수 있기를 바라고 소망하며, 이 땅의 진정한 주인인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당당하게 명령하는 바다.

 

문화저널21 / 2012. 7. 2

728x90
반응형